종료
2020 '한국판 뉴딜'에 대한 '시민 주도 공론장'을 제안합니다.
- 제안기간: 2020.08.20. ~ 2020.08.20.
- 작성자: 빠띠
- 작성일: 2020.08.20. 14:55
- 조회수: 214
코로나19가 단기간 내에 종식 될 것이라고 희망하기 어려운 비관적인 상황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홈에듀케이션, 비대면소비 등의 사회적 변화가 확산되어 일상화 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와 경제위기가 격화되고 있고 이에 따른 사회적 삶의 변화가 강제되고 있는 것입니다.문재인 정부는 지난 7월,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는 동시에 한국 사회의 전환을 이루겠다며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였습니다.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고용사회안전망강화’의 세 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적 차원의 기후위기와 경제위기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통해 더 나은 사회경제구조로의 전환을 시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적절한 대응이었습니다. 하지만 '한국판 뉴딜'의 구체적인 내용들에 대한 면면을 살펴본 시민들은 다양한 비판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판 뉴딜'이 기존의 정책들의 재포장에 그치고 있다거나, 산업 및 관련 기업에 대한 지원이 주를 이루어 정부와 기업만이 전환의 주체인 것으로 상정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많습니다. 일자리 창출 역시 양질의 일자리라 보기 어려운 불안정한 단순 일자리의 단기적 지원에 그치게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그린 뉴딜'의 경우에는 탈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이루기 위한 목표와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한국판 뉴딜'의 내용과 그에 대한 시민들의 비판을 보면, 충분한 의사수렴을 통한 공론의 형성이라는 과정을 거치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약속(뉴딜)’에 시민과 이해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담아 내지는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라도 진정한 '새로운 사회계약'으로 나아가기 위해, 시민들이 생각하는 '코로나 19 이후의 사회와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시민주도 공론장'을 열어야 합니다. ‘한국판 뉴딜'('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이 정부의 기대처럼 기후위기와 경제위기, 그리고 불평등과 양극화를 극복하고 더 나은 사회체제로의 전환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사회적 조건 하에서의 시민의 주도적 참여를 통한 민주적인 신뢰와 협력의 복원을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연계 공론장을 열어 시민주도의 공론 형성을 추진해야 합니다. '한국판 뉴딜'과 관련된 주요 의제들을 공론화 하고자 하는 시민들, 시민사회단체와 이해관계자들이 공론장 플랫폼을 활용하여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공론장을 열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판 뉴딜' 관련 의제 발굴을 위한 조사와 네트워킹이 연동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교육(비대면 교육, 교육 소외계층), 노동(디지털화에 따른 일의 변화, 재택근무의 일상화), 인권(감시 데이터, 젠더, 디지털 리터러시) 등 의제별 주요 활동 단체와 협력하여 공론장을 기획하여 열 수 있을 것입니다. 온라인 공론장에서 모인 의견들을 벼려내어 좀더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하고 논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오프라인 공론장(정책 포럼)을 병행하여 개최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대규모 오프라인 공론장이 어려울 경우 의제 관련 패널들이 전문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참여자들이 온라인에서 논의를 이어갈 수 있도록 연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시민들의 주도적 참여에 의한 공론의 형성 및 제도화를 이뤄낼 때에 '한국판 뉴딜'이 진정한 '새로운 사회계약'으로 자리매김하여 더 나은 사회로의 전환을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공감
13명이 공감합니다.
소이 / 단디 / 빠띠 / 람시 / 도란 / ire / leeks2k / 미Mee / 씽 / Ohyeon / 서원핫 / 호호리 / 찐쩐
코로나 국면을 통해 경제위기와 기후위기가 교차되어 가시화되고 현재의 삶은 힘들어지고 미래의 삶은 불안해지기만 합니다. 이런 구조적인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노력인 '한국판 뉴딜'이 형식적인 선언에 그친다거나, 기업만을 위한 정책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시민과 노동이 함께 하는 민주적 공론장의 영역에서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한 진전이 필요합니다.
독일의 '인더스트리4.0', '노동4.0'과 같은 정부-민간-학계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합 사회적 합의 형성 시도는 그 내용에 대한 동의를 떠나 배워야 할 시도일 것 같습니다. 지금 급히 추진해야 할 조치들은 당장 추진해야 하겠지만, 한국사회의 전환을 실제로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합의 형성 및 동력 확보를 위해서라도 지속적인 제도 차원의 대화와 시민주도 공론장이 열려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