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디지털의 배신] 1장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지배하는 플랫폼 세계'

  • 작성자: ramsci
  • 작성일: 2023.08.01. 02:28
  • 조회수: 387

[디지털의 배신] 스터디

 

제1장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지배하는 플랫폼 세계

 

플랫폼이 현실을 좌우하는 피지털 세상

  • 피지털
      • “잘 드러나지 않는 가상의 데이터 논리가 현실 세계에 거꾸로 미치는 관계망" 
      • “물질계와 디지털계 사이에 관계 밀도가 높아진 것에 착안" 21
      • “포스트 디지털” 
      • 예) 강남역, 구의역 포스트잇 추모 22
  • 플랫폼
    • 플랫폼 기업
      • “물질과 데이터 접경을 매개하고 연결하면서도 새로운 시장 논리를 빠르게 구축하는 지배 흐름"
      • 플랫폼
        • “특정의 재화를 공급하거나 이것이 필요한 이들 사이 교류가 아주 잦은 눈에 띄는 곳"
        • ‘공유 플랫폼’들의 ‘공유 경제’
          • 공유 플랫폼 기업들이 공식화된 시장 유형
        • “사용하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필요한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매개하는 중개역을 자처" 23
      • 문제
        • 플랫폼 기업들이 피지털 세계의 방향을 좌우하는 큰손이라는 점 
    • 오투오(온라인 투 오프라인)
      • “‘오투오'란 데이터 세계의 플랫폼을 기축으로 삼아 현실 세계로 내려와 여러 개인 영세업자의 재화와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적절히 배치하면서 부를 축적하는 중개 브로커 사업자들을 지칭"  24
    • 시장의 지배?
      • 자본주의 밖 선물경제, 무상증여의 흡입
        • 화폐가 사물과 노동을 시장 내부로 흡입하는 것과 유사
        • 공동의 호혜문화 자원들의 플랫폼 기업 내화 사례
          • 상호부조 → 알바몬(임시직 노동 플랫폼 기업)
          • 식객문화 → 에어비앤비
          • 자동차 동승문화 → 우버, 카카오 카풀
          • 하숙집, 임대 → 셰어하우스(공유 주거 플랫폼) 25
    • “오늘날 플랫폼 기업이 구조화 하는 피지털 논리는 이미 악화된 노동 상황을 더 위태롭게 만들거나, 주거와 사무실 임대차 긴장 관계를 더욱 자극하거나, 가상의 별점과 평점을 동원해 실물자산에 또 다른 지대 거품이나 젠트리피케이션을 야기하는 등 외려 현실의 질서 왜곡을 심화"함 26~27



빅데이터가 삶을 바꾸어놓다

  • 문화변동
      • 기술문화
        • “일상 삶으로서 문화가 된 기계(공학)문화”
      • 소프트웨어 문화
        • “소프트웨어 기술이 우리의 ‘문화'양식을 구성하는 물질적 요소와 비물질적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추 역할을 맡고 있다" 
      • 해당 용어 사용의 효과
        • “문화 현상과 기술체계의 분리 불가능성에 대한 강조" 29
  • 빅데이터
      • 의미
        • “다른 신기술을 작동하게 만드는 이른바 디지털 에너지이자 핏줄"
        • 클라우드 서비스,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인공지능 알고리즘 분석 등의 기본 원료 30
      • 종류
        • 정형 데이터
          • 주민번호, 신용, 건강, 교육 데이터
        • 비정형 데이터
          • 감정, 정서, 정동, 생체리듬 데이터
          • ‘빅데이터 시대'라는 말은 “급증하는 비정형 데이터가 자본주의 핵심 생산 원리로 편입되는 현실을 지칭"
      • 자본의 데이터 소유
        • “이용자 데이터와 콘텐츠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거래"되며 “자본의 이윤을 위한 땔감이 된다.” 31 
        • 누리꾼들은 서비스를 자발적으로 사용하며 데이터 부스러기를 배출하며 자본주의 시장의 목적이 되어간다. 32
      • 빅데이터 기술에 의한 (긍정적) 변화
        • “문화 소비나 향유의 민주화"
        • “문화 제작과 지식 생산의 대중화"
        • “오늘날 누구든 원하면 데이터 생산과 유통의 주체로 나설 수 있다.”
        • 대중의 아마추어적/협업적/집단적 표현물은 주류 문화상품과 틈새경쟁 할 수 있게 됨
        • “평등주의적 데이터 소통과 표현의 ‘바이러스 같은(바이럴)’ 쾌속의 확장 능력"에 의한 “집합지성의 발현이나 ‘미투' 운동을 통한 여성들의 정서적 연대나 교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
        • “대중문화 생산 방식을 알고리즘 장치로 자동화" → “문화 소비 주체 각자의 문화 취향들을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자동 추천하는 기술 문화 환경을 구축" 33
        • → “이용자 층위에서 문화 콘텐츠 정보 생산과 제작의 대중화를 좀더 확산"
          • 대중 콘텐츠 생산자, 새로운 소셜 매개 집단, 인플루언서, 소셜테이너,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의 부각
            • 신생 문화산업 인력시장을 열고 있음 34
      • 빅데이터로 인한 부정적 변화
        • [1] 데이터 사유화
          • “자발적 문화 활동과 결과물은 플랫폼 장치 안으로 흡수되어 노동으로 포획됨 35
        • [2] 알고리즘 주체의 탄생
          • “플랫폼 알고리즘 분석과 취향 예측에 최적화된 문화 소비 주체"의 탄생 36
        • [3] “문화사업 외곽 ‘예비부대’”의 등장 37
          •  “일반 시민이 비공식적으로 문화 노동의 최전선에 배치되는 효과" 36
          • 대다수가 “무급의 데이터 생산 문화 노동자들로 전락" 
        • [4] 가짜뉴스의 범람
          • 팩트 체크의 불투명함 37
  • 대안
    • “데이터가 우리 자신의 결정 권한 안에 귀속될 수 있도록 하고, 각자의 데이터 노동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사회적 보상과 증여 체제를 마련"
    • “알고리즘 체제의 편견을 제거"
    • “플랫폼 기술의 사회적 투명성에 대한 요구"
    • “시민의 기술 문화 역량” 증진: 디지털 “리터러시를 배양"

 

유튜브는 어떻게 블랙홀이 되었는가

  • 현황
      • “대중의 일상 창작과 전문적인 문화 생산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진 지 오래" 
      • 유튜브는 “모든 콘텐츠가 제작-유통되는 거대한 용광로가” 됨 40
      • 하틀리의 “전 국민의 문화산업 노동자화” 구상
        • “콘텐츠 소비 활동"을 하는 “대중을 ‘창의 시민' 문화 노동자층으로 적극 흡수해 생산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 “크리에이터는 문화 노동 주력군이 되고, 국가 문화산업이나 문화 경제부흥 논리에 동원된 한류 스타처럼 편입되어간다.” 41 
  • 청년들의 ‘그림자 노동'
      • “디지털 플랫폼들은 자본주의 경기 불황기에 신규 창업하거나 활성화 되는 경향이 크다.” 43
      • 잉여노동시간에 글,댓글,좋아요,맞팔,멘션,이모티콘 등 데이터 활동 및 콘텐츠 제작을 수행
      • “청년들의 불안정한 노동 상황이 악화할수록 … 잉여의 자유 시간을 ‘그림자 노동'처럼 쓰”게 됨 44
  • 유튜브의 알고리즘 편견
      • 알고리즘
        • “특정의 정보를 분류-선택-조직-연결하는 자동화된 명령어 체계"
      • 구글 알고리즘의 목적
        • 기술 이용해 광고주 매칭하여 수익을 냄
        • “유튜브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과 소비를 표준화하는 데 적극 활용” 45
      • 편견의 알고리즘
        • “편견과 관성을 내재화하고 재생산하는 문화 검열의 자동화 원리를 꽁꽁 숨겨두고 있다"
        • 관련, 추천, 맞춤의 목록을 통해 “서로 다른 취향의 자기만의 방들에 갇힌다.” 46
  • 대안
    •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제하는 일이 우선" 48

 

넷플릭스 알고리즘이 취향을 납작하게 만든다

  • 과로사회의 콘텐츠 소비문화
      • 과로사회
        • → TV 시청시간 증대, 실질 문맹률 증대, 낮은 열독률, 영상문화 소비 위주의 문화 편식 증대
      • 넷플릭스 폐인 현상
        • 몰아보기, 정주행 시청 51
  • 알고리즘
      • 맞춤형 영상 소비 추천
      • 실시간으로 파악된 미세한 이용자 행동 반영 53
      • 태그에 의존한 콘텐츠 장르 구분 및 매칭 54
      • → “알고리즘 분석 대상인 개별 시청자 취향 그 자체가 넷플릭스의 신생 장르로 자리 잡는다" 56
  • 명과 암
        • 좋은 시나리오에 대한 과감한 투자 및 다양한 제작 기회 제공의 열린 자세는 영상 시장 생태계 혁신에 긍정적
        • 다국적 제작 방식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이색적인 신세계를 제공"
        • “가입자 관리 알고리즘의 불투명성"
        • “현저히 낮은 국내 오리지널 제작 편수의 비율"
        • “혐오나 폭력 콘텐츠에서 미성년자 보호 장치 부재"
  • 대응
    • “‘전산학적' 영상 비평이나 ‘신'정치경제학적 분석이 요구"됨
    • 내용 비평과 미디어 형식의 분석이 필요
    • “새로운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의 국제 정치경제학적 분석" 필요 58
    • 거대 온디맨드(주문형) 플랫폼 영상 서비스 장치에 대한 … 의식전환" 필요 59










공감

2명이 공감합니다.

0 / 1,000

댓글 ( 0 )